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

세계 종교사 입문 - 도교의 역사 (교단, 신앙체계)

by Reminiscence19 2022. 6. 11.

도교의 역사, 신앙, 교단 - 세계 종교사 입문

  • 도교란 무엇인가?
  • 도교의 역사적 전개
  • 도교의 신앙 체계

썸네일-도교의역사

 

I. 도교란 무엇인가?

1. 도교의 특징

① 도교는 중국에서 태어난 종교로서 유교와는 달리 비교적 민중의 삶과 밀착하여 전개되어왔다. 즉 생활에 있어서 민중의 마음을 실제로 지배했던 것은 유교가 아니라 도교였다.

② 도교에는 개조(開祖)가 없다. 그뿐 아니라 다른 종교에서 보이는 체계화된 교리, 교의라고 불릴 만한 것이 명확하게 조직화되어 있지도 않다.

한마디로 말하여 도교는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원시 신앙을 기초로 하여 여러 사상의 요소들이 혼합되어 집대성한 종교인 것이다.

도교가 민간신앙의 집대성이라고 할 때 민간신앙을 이루는 각 요소들은 무축, 음양오행설, 신선설, 참위설, 도가의 사상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2. 도교 성립의 과정

은대: 산이나 강, 바다, 바람, 번개 등 자연현상이 신으로서 제사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애니미즘적인 종교현상을 엿볼 수 있다.

3세기 B.C.E. 중반 무렵, 전국시대가 끝날 때 즈음해서 선인에 대한 사상, 소위 신선설이 나타난다.

신선설은 여러 제후들을 사로잡았으며, 여러 주술과 신앙 등을 결합하여 방술이라고 불리는 것을 만들어 낸다. 방술이란 간단히 말해서, 원시적 의술, 복서, 점성술, 장생법 등이 혼합된 주술을 의미한다.

1세기 B.C.E. 무렵 도가의 사상은 황제 신앙과 결합하여 황로 사상으로서 유행한다. 여기서 황제와 노자는 초인적, 신선적 존재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전한의 무제 때 신선•방술, 신비 사상이 더욱 유행하게 되고, 빈곤과 전쟁 때문에 고통받던 민중들은 이 방면에 모여들게 된다. 그래서 태평도, 오두미도라고 불리는 두 종교집단이 생겨났다.

3. 민중 도교와 교단 도교

도교는 중국인들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성립된 자연 종교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민간 종교적 요소를 많이 흡수하였기 때문에 도교의 명확한 경계선을 확정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II. 도교의 역사적 전개

1. 태평도와 오두미도, 천사도

① 태평도(太平道)
태평도를 성립시킨 인물은 ‘간길’이다 그는 산동성 출신으로 오행사상, 의술, 예언 등에 뛰어난 방사적인 인물이었다고 한다.

2세기 중엽, 간 길은 <태평청령서>라는 신서를 받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신서를 근본경전으로 삼아서 종교집단을 조직하였다.

<태평청령서>는 간 길의 제자들에 의해 후한의 조정에 헌상되었으나, 왕실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나중에 그 책은 장각이라는 인물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으며, 장각은 그것을 근거로 태평도를 재조직하였다.

장각은 후한 말에 어지러운 정국을 틈타 ‘황건의 난’을 일으켰으나 1년도 못되어 평정되었다. ‘황건의 난’은 중국 최초의 종교 반란이었다.


② 오두미도(五斗米道)

오두미도를 창설한 인물은 안휘성 출신의 정릉이라고 한다.

그는 병 치료를 중심적인 가르침으로 하여 하나의 종교단체를 조직하였는데, 신도들에게 쌀, 비단, 종이, 붓, 장작 등을 헌납하게 하는 규칙을 정하고 제주 드의 기구를 만들어 조직을 관리하게 했다


장릉에 의해 기초가 만들어진 오두미도의 조직을 확고한 체제를 갖춘 종교조직으로 발전시킨 인물은 장릉의 손자 장로였다.


오두미교는 장로에 의해 조직과 체계가 완성되고 그 후 후한 왕조가 멸망하기 직전에 있어서 각지에 군웅이 일어나 세력을 다툴 때에, 종교•정치 조직을 근거로 그 군웅들과 어깨를 나란히 경쟁했으나 결국은 215년 위의 조조의 토벌을 받아 항복하였다. 이로써 오두미도라는 종교•정치 집단은 사실상 종지부를 찍는다.


③ 천사도

한중에 자리 잡았던 오두미도 정권이 무너진 후, 장로의 셋째 아들 장성은 오두미도의 제4대 천사가 되어 한중에서부터 장쑤 성의 용호산으로 본거를 옮겨 천사도의 발전을 지속시킨다.

2. 상청파의 성립과 발전

3세기를 전후하여 강소성의 모산을 중심으로 하여 도교 교단이 조직되었다. 이것을 상청파라고 부른다. <모산지>에 의하면 위화존이 상청파의 개조(改造)라 한다.

상청파가 체계적인 종교교단으로서의 조직과 체제를 갖추게 된 것은 육수정 때부터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육수정은 실질적으로 상청파를 조직한 교단의 조직자에 해당한다.

그 이전은 사실상 상청파의 맹아적 상황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때 도교 경전의 목록인 <삼통경서목록>을 편찬하였다.

육수정에 이어 상청파의 이론을 완성하는 데 기여한 인물은 제9대 종사인 도홍경이다.

당대의 상청파는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호국적인 성격 또는 국가 도교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하지만 송대에 들어 왕실과 소원해지고 몽고 원나라 때에는 정일교보다 낮게 취급되었다.


3. 신천사도의 성립

불교가 중국에 뿌리를 내리면서 불교 측은 도교적인 신앙에 대해 특히 엄격한 비판을 가하게 되는데, 도교는 이레 대처할 적수가 되지 못했다.

그러하여 불교에 대항할 수 있는 종교적 내용과 체제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그러한 요청에 답하기 위하여 출현한 것이 구겸지에 의해 조직된 신천사도(新天師道)이다.


4. 도교의 혁신파: 신소파, 태일교, 진대 도교

① 신소파

1100년에 즉위한 북송의 휘종은 도교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쏟았다. 그때 임영소가 측근에 있게 되면서 그 관심은 정점을 달하게 되는데 임영소의 계통을 보통 신소파라고 한다.

임영소는 천사도와 상청파 등 교단에 의한 구별을 없애고, 신앙의 대상에 따라 가르침을 재편한 후, 휘종을 정점으로 한 자기의 주장을 최고의 지위에 올려놓는다. 이렇게 하여 임영소의 신소파가 도교의 최고 위치에 올라선다.


② 태일교
태일교는 금나라 때 소포진이 하남성에서 일으킨 도교 교단이다. 이 파는 부적을 중시하고, 중도를 존중하였다는 것, 그리고 음주를 삼갔다는 것 이외에는 그다지 알려진 바가 없다.


③ 진대 도교
산동성 출신의 유덕인에 의해 성립되었다. 대체적인 내용은, 무위 청정을 본지로 하여 자비심을 가질 것, 음사•욕망•살생•음주를 금하고 다른 사람의 고통을 덜어줄 것, 스스로 경직할 것 등을 기본적인 가르침으로 하였다.


5. 전진교의 성립

전진교는 왕중양에 의해 만들어졌다.

[전진교의 특징]
① 유교•불교•도교가 근본이 같다고 하는 ‘삼교합일’ 사상
② 불교 특히 대승불교의 선(禪)을 섭취했다.
③ 천사도에서 중시했던 주술, 금단 중심의 양생술 등을 배제하였다.

6. 정명충효도와 무당도

① 정명충효도는 1128년 교조 허손이 하진공에 강림하면서 모태가 만들어졌고, 1296년에 유옥에 의해 교단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 파는 진대 도교 및 전진교와 마찬가지로 삼교 조화의 사상에 입각하여 있으면서, 특히 유교에서 강조하는 충효의 가르침을 근본에 두고 있다.


② 무당도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연구가 나와 있지 않다.



III. 도교의 신앙 체계

1. 도교의 신들

원시천존 - 도교의 최고 신.
삼청 - 옥청, 상청, 태청
태상노군 - 노자의 신격화.
옥황상제 - 11세기 이후에는 일반인들로부터 최고 신으로 모셔진다. 9세기 이후에 중시되기 시작.
현천상제 - 북극성의 신격화, 북극자미대제라고도 한다.
삼궁대제 - 상원천관•중원지관•하원수관, 천•지•수의 삼관을 신격화.
북두신군 - 북두찰성의 신격화.
동악대제 - 태산의 신.
태일구고천존 - 인간을 구제하는 신.
무상원군 - 노자의 어머니.
태일원군 - 여러 신선의 왕.
금모원군 - 서왕모, 여선의 장.

2. 도교와 산악 신앙

도교의 중심은 신선사상에 있다. 이 신선설은 화북지방의 산악 신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도교의 의례

① 금록제 - 천재를 물리치고 제왕을 돕는다.
② 옥록제 - 인민을 위함.
③ 황록제 - 지옥에 떨어진 친구나 선조를 구제.
④ 상청제 - 시선이 되기를 기원.
⑤ 명진제 - 먼 선조를 구원.
⑥ 지교제 - 죄를 빌고 복을 구함.
⑦ 도탄제 - 죄를 용서해 주기를 빎.
⑧ 삼원제 - 자신의 죄를 참회함.
⑨ 팔절제 - 신선이 되기를 기원.    등등이 있다.

4. 양생술: 벽곡•복이•조식•도인•방중

① 벽곡: 정신을 깨끗하게 보존해야 장생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장이 깨끗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 결과 고안된 방법이 오곡을 먹지 않는 벽곡법이다. 오곡 대신에 약초를 먹고, 화식을 금하고 자연식을 생식하는 방법이다.

② 복이: 초목이나 금속(광물)을 재료로 하여 만든 약을 먹고 장생을 얻는 방법이다.


③ 조식: 심호흡을 계속함으로써 장생을 얻고자 하는 양생법의 하나이다.


④ 도인: 체내에 기를 보존하고 충실화하는 방법이다.


⑤ 방중술: 체내에 기를 축적하여 원기를 보존하는 장생법의 하나이다.


5. 도교와 사회윤리

① 공과격(功過格)
죄의 경중에 따라 벌의 경중이 대응되며, 사람들은 자신이 한 행위의 선•악을 스스로 계산하여 매일매일의 행동에 점수를 기록하는 책자를 갖기도 했다는 사실을 일컫는다.

② 도교의 계율
초기 도교에는 계율이 그렇게 엄격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시대가 뒤로 갈수록 유교•불교 측에서의 도덕적 비난을 극복하기 위해 계율이 점차 복잡해지게 된다.


출처: 청년사의 '세계 종교사 입문'의 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합니다.

세계 종교사 입문 - 불교의 역사 (교단, 교리, 대승불교)

 

세계 종교사 입문 - 불교의 역사 (교단, 교리, 대승불교)

불교의 역사 (교단, 교리, 가르침) - 세계 종교사 입문 불교란 무엇인가 초기 불교 (붓다 활동기~불멸 후 100년경) 부파불교(불멸 후 100년경~1세기 B.C.E. 경, 대승불교의 흥기 이전) 대승불교(1세기

reminiscence19.tistory.com


세계 종교사 입문 - 유교의 역사 (한/위진남북조/송/원/명/청나라 시대)

 

세계 종교사 입문 - 유교의 역사 (한/위진남북조/송/원/명/청나라 시대)

유교의 역사 (한, 위진 남북조, 송, 원, 명, 청나라 시대) - 세계 종교사 입문 유교란 무엇인가 한대의 유교 - 경학의 성립과 전개 위진 남북조․수․당의 유교 송․원 시대의 유교 명․청 시대의

reminiscence19.tistory.com

728x90

댓글